티스토리 뷰

반응형

1.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구축

- 상업용 드론의 기술개발과 안전검증 시험비행과 테스트

1단계:

영월:  원거리/비가시권에 특화된 비행시험 가능 

- 정지 추력시험기 ( 0~500kg 추력 시험과, 1~10,000rpm 측정시험 가능, 챔버를 통해 -40 ~ 20도 / 80~98% 온도/습도 환경시험) 

- 통제실

- 레이더관제화면 

- 직경 11km, 고도 450m의 원형 공역 형태 

 

보은: 산악지형에 특화된 비행시험이 가능

- 전자파내성 (700MHz ~ 3GHz 전자파에 대한 내성시험 가능)

- 통제실

- 전자파교롼 확인 시험시설 

- 산악수색 및 산림방재 시험 가능

 

고성: 활주로가 있어 비행시험이 가능 + 무인기통합시험시설 

- 외풍조종성시험 (2.5m/s ~ 16m/s 풍속 가능)

- 활주로와 헬리패드 구축, 다양한 드론비행시험 가능

- 원거리 레이더 및 영상정보 수신 원활

- 장거리 비행시험에 따른 장시간 비행 수행

 

<공용장비>

- 레이더, 추적카메라, 

 

2단계:
- 화성: 비행하중

 

- 인천: 비행정밀도

 

3단계:

- 의성: 2022년 연장 예정 

 

2.  드론 비행성능시험 

25kg 초과 드론은 안전성 인증을 통해 성능확인을 받아야 한다. 25kg 이하 드론에 해당하여 객관적인 성능을 확인이 필요.

현재 국내 드론 등록대수 3만 5천대 중 25kg 이하가 83 %를 차지하는 상황.

 

2022. 7~9월말까지 인천 화성 드론전용비행시험장에서 8종 검사를 시범 운영하여 7월 28일부터 국내개발 드론을 대상으로 성능시험 성적서를 발행.

 

10월부터시험장을 전국 5개 드론전용비행시험장으로 늘릴 계획, 검사항목도 장비 4종을 포함 단계적으로 16종까지 확대할 계획. 

 

궁극적으로는 KOLAS인정을 받는 것이 목표. 기술장벽을 없애는 것!

 

KOLAS(Korea Laboratory Accrediation Scheme) 

- 한국인정기구로, 국가표준기본법 및 ISO/IEC Guide 규정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교정 시험 검사, 표준물질 생산기관 인정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해당 기관이 발급한 시험성적서가 공신력을 갖추고 있음을 인정해 주는 제도, 총 20년 기준 36개소가 있다. 

 

장점: 성적서의 공신력, 시험결과의 상호수용, 비용절감효과

 

 

 

 

 

국가 비행종합시험 인프라: 고흥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